🎯 전체 요약
- 다양한 화면 크기에 적응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핵심 메커니즘 제약조건(Constraints)
- 프레임과 그룹의 차이점
- 수평/수직 제약조건
- 중단점(breakpoint) 테스트를 위한 무료 반응형 플러그인 소개
⌨️ 단축키 정리
단축키 하나씩 모여서 생산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.
- Command + Backslash = 전체 화면 모드
- Shift + 2 = 프레임을 뷰에 맞춤
- N = 다음 프레임
- Shift + N = 이전 프레임
- A 누르면 장치 프리셋(iPhone/Android/Web)이 있는 프레임 옵션
인스타그램용, 링크드인까지 프리셋으로 제공되는 점이 인상적
- 네비게이션: Tab = 다음 요소
- Return = 프레임 진입
- Shift + Return = 프레임 나가기
⚖️ 프레임 vs 그룹
- 프레임: 크기 조정 시 요소가 일관성 유지(지능적 동작)
- 그룹: 요소가 무작위로 이동
- 강좌 카드 예제: 사진 + 라벨 + 제목 + 설명 + CTA 버튼
- 프레임은 요소 위치 유지 /그룹은 레이아웃 무결성 파괴
무조건 디바이스 크기에 맞춰서 커지고 작아지는 것이 반응형이 아니다.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반응형 일 수 있음
🔧 제약조건 작동 방식
- 2가지 속성: 수평 제약조건 + 수직 제약조건
- 좌/우: 프레임 가장자리로부터 동일한 거리 유지(늘어남)
- 중앙: 요소가 늘어나지 않고 중앙에 머묾
- 좌측만: 요소가 왼쪽 가장자리에 고정
- 우측만: 요소가 오른쪽 가장자리에 고정
💡 실용적 예제
- 회색 프레임에 중앙 배치된 버튼
- 좌 + 우 제약조건: 버튼이 프레임 너비에 따라 늘어남
- 중앙 제약조건: 버튼이 늘어나지 않고 중앙에 유지
- 플로팅 액션 버튼(FAB)
- iPad 화면에서 Gmail 스타일 FAB 버튼 데모
- 수평: 우측 | 수직: 하단 = 우측 하단 모서리에 고정
- 그라데이션 배경: 좌 + 우, 상 + 하 = 전체 가장자리까지 늘어남
- Material Design FAB는 화면 확장 중에도 고정 위치 유지
🔌 반응형 플러그인
- 무료 플러그인으로 단일 테스트 프레임에서 여러 중단점 시뮬레이션
- 3가지 화면 크기(iPhone/iPad/Mac) 입력 → 플러그인이 자동으로 레이아웃 전환
- 중단점 감지: 적절한 프레임 자동 선택
- 테스트를 위한 수동 프레임 복제 제거
주요 링크
- 전체 UX 강좌: learnuiux.in
- 반응형 플러그인: Figma 커뮤니티
- Material Design 가이드라인: material.io
- Figma 재생목록: 시작하기 및 기능 튜토리얼
- Notion: 문서화 도구 추천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Lp2cgMZaXKU
이 문서는 튜토리얼 영상을 보고 작성한 학습 기록입니다.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