🎯 전체 요약
- Figma 토큰: hex 코드 같은 구체적 값을 인간의 언어로 추상화하는 디자인 시스템 관리 방법론
- 3계층 토큰 시스템: Primitive → Semantic → Component-Specific
- Uber Base 디자인 시스템의 실전 사례 분석
- Figma 플러그인(Styler, Sorter)을 활용한 효율적인 스타일 생성
- 라이브러리 퍼블리싱으로 팀 전체 디자인 일관성 확보
🎨 토큰 3계층 시스템
디자인 토큰은 구체적인 값을 점진적으로 추상화하는 3단계 계층으로 구성된다.
Primitive 토큰 (원시 값)
- 직접 hex 코드 별칭:
blue-500 → #3B82F6,grey-300 → #D1D5DB
Semantic 토큰 (목적 기반)
- UI 의도를 나타내는 참조:
UI-primary-1,text-secondary
Component-Specific 토큰 (컴포넌트 특화)
- 세부 사용처 지정:
button-primary-bg-active,modal-text
토큰 네이밍 규칙:
[category]-[component]-[variation]-[attribute]-[state]예시:
UI-button-primary-background-active🏢 Uber Base 디자인 시스템 사례
리소스: base.uber.com - Uber의 공개 디자인 시스템
토큰 구조
- 이름: 고유 식별자 (엔지니어링 Key)
- 값: 실제 측정값 (hex, px 등)
- 타입: 색상, 간격, 타이포그래피 등
- 설명: 사용 가이드
8가지 지원 토큰 타입 색상, 타이포그래피, 레이아웃 그리드, 치수, 모서리 반경, 햅틱, 그림자, 간격
4가지 색상 버킷
- Primitives: 100개+ hex 코드 (원시 팔레트)
- Foundations: 6개 브랜드 색상
- Core: 17개 그레이 값 (중립 스케일)
- Extensions: 29개 시맨틱 값
그레이 3분류 시스템
- Background (표면): 레이어, 카드, 컨테이너
- Content (텍스트/아이콘): 모든 가독 요소
- Border (스트로크): 구분선, 외곽선
카테고리별 토큰 선택 규칙을 통해 디자이너는 용도에 맞는 토큰만 사용한다.
- 표면 → background-primary/secondary/tertiary
- 텍스트 → content-primary/secondary
- 외곽선 → border-default/selected
Uber 네이밍 구조 [타입]-[맥락] 형식으로 간결하게 작성
content-primary: Content 타입 + Primary 맥락 (최고 대비)background-secondary: Background 타입 + Secondary 맥락 (중간 elevation)
구체적일수록 긴 이름, 일반적일수록 짧은 이름
🛠️ Figma 실전 구현
색상 스타일 생성 워크플로우
기본 스타일 생성
- 도형 선택 → 색상 선택기 옆 4점 아이콘
- “새 스타일 만들기” 선택
- 슬래시 규칙으로 그룹화 이름 지정 (예:
grey/base-1)
Figma 스타일 제한사항: 한 수준 추상화만 지원 (hex → 이름). 다층 토큰은 Figma Variables 필요.
그레이 스케일 일괄 생성
- 흰색 사각형 → Shift + 아래 화살표로 복사 → base/mid/contrast 생성
- Rename Selection:
grey/base-$n(자동 순차 번호) - Sorter 플러그인: 캔버스 순서 = 레이어 패널 순서
- Styler 플러그인: “Generate Styles” → 일괄 스타일 생성
결과: grey/base, grey/mid, grey/contrast 그룹 자동 정리
타이포그래피 스타일
폰트 권장: Google Fonts (오픈소스, 사전 로드, 라이선스 문제 없음)
3가지 타이포그래피 분류
Labels (한 줄 텍스트)
- 크기: 12px, 14px, 16px, 18px, 24px
- 행 높이: 100% / 자간: -2%
- 네이밍:
label/L5-reg-400(L1=최대, L5=최소)
Displays (제목)
- 크기: 24px, 32px, 48px, 64px
- 행 높이: 135% 또는 120%
Paragraphs (단락)
- 크기: 14px, 16px, 18px
- 행 높이: 최소 135%
(백분율 금지, 명시적 픽셀 값 필수) - 예: 16px × 135% = 22px
가중치 네이밍: Regular=400, Medium=500, Semi-bold=600, Bold=700
Figma 스타일은 폰트 속성만 저장, 색상은 별도 적용
필수 플러그인
- Styler: 레이어 이름 → 스타일 일괄 생성
- Sorter: 레이어 패널 정렬
- Rename Selection: 자동 번호 일괄 이름 변경
- Find and Replace: 파일 전체 텍스트 교체
- Ghostwriter UX: 더미 카피 생성
- Spellchecker: 오타 검사
라이브러리 퍼블리싱
워크플로우
- 마스터 파일 생성 (모든 스타일 포함)
- Assets 패널 → 책 아이콘 → “Publish”
- 다른 파일에서 라이브러리 활성화
베스트 프랙티스 구조
- 파일 1: 디자인 시스템 라이브러리
- 파일 2~4: 모바일/웹/마케팅 (라이브러리 참조)
한 곳에서 업데이트 → 모든 파일 자동 동기화 (Figma Pro 필요)
주요 링크
디자인 시스템 연구
- base.uber.com - Uber Base 시스템
- designsystems.com - 업계 디자인 시스템
- component.gallery/design-systems
UX 영감
- pageflows.com - 사용자 흐름 패턴
- mobbin.com - 모바일 앱 스크린샷
- uxarchive.com - 앱 화면 컬렉션
Figma 리소스
- figmalion.com - Figma 리소스
- shortcuts.design - 키보드 단축키
학습 리소스
- checklist.design - UX 패턴 체크리스트
- Apple HIG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LcY0X10H2wo
이 문서는 튜토리얼 영상을 보고 작성한 학습 기록입니다.

